가변배열 ArrayList
ArrayList는 참조 data type만 저장할 수 있다.
add get size를 많이 사용한다.
add() 해당 타입의 정보를 입력
get() 해당 번호에 있는 정부를 출력
remove() 해당 번호에 있는 정보를 삭제
set() 해당 번호에 해당 정보를 입력
size() 저장된 정보 갯수를 출력
clear() 모든 정보 삭제
MainClass01 (ArrayList 사용법과 자주쓰는 코드)
가변배열 ArrayList
ArrayList는 참조 data type만 저장할 수 있다.
add get size를 많이 사용한다.
add() 해당 타입의 정보를 입력
get() 해당 번호에 있는 정부를 출력
remove() 해당 번호에 있는 정보를 삭제
set() 해당 번호에 해당 정보를 입력
size() 저장된 정보 갯수를 출력
clear() 모든 정보 삭제
MainClass02 (ArrayList와 반복문)
ArrayList 에 add를 사용해 정보를 입력하고 반복문을 이용해서 편리하게 정보를 출력했다. 정보를 출력할때는 get을 사용해서 변수에 담아 작성했다.
MainClass03 (Scanner)
nextLine()
한 줄(개행문자,엔터)을 기준으로 입력을 받는다.
2022.07.26 - [java] - Step03_Class(static, this, Random(), Scanner())
해당 게시글에서 비슷한 예시를 학습했었다. 이번에도 scanner을 활용했다.
print, println 차이
두가지의 차이는 줄바꿈을 안하고 하고의 차이이다. "문자열 입력:" 옆에 바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print를 사용했다.
MainClass04 (Scanner와 확장for문)
MainClass03 와 비슷하게 Scanner 클래스를 활용했다. 다른 점이 있다면 반복문을 곁들인 것이다. 반복문을 사용해서 "이름입력:"과 함께 타이핑할 수 있는 기회가 3번 주어지고 3번 입력 후 해당 정보가 출력된다.
확장 for 문
방번호 상관없이 순서대로 가져올때는 확장 for문으로 줄여쓰기도 한다.
1. for(String tmp:names) {
System.out.println(tmp);
}
2. for(int i=0; i<names.size(); i++) {
String tmp=names.get(i);
System.out.println(tmp);
}
3. for(int i=0; i<3; i++){
System.out.println(names.get(i));
}
예시에서 사용한 1번 코드는 확장 for문을 활용했다. 기존의 for문 작성법이었다면 2번,3번 코드 처럼 작성했을 것이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p12_UtilClass (ArrayList 활용 객체 배열, Member, MemberDto) (0) | 2022.08.01 |
---|---|
Step12_UtilClass (ArrayList) (0) | 2022.08.01 |
Step11_GenericClass(포괄클래스) (0) | 2022.08.01 |
Step10_Interface(@FunctionalInterface, 메소드 표현식) (0) | 2022.08.01 |
Step10_Interface (메소드 표현식)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