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환
# 연산자, 출력 서식
v1 = 2 # 치환
v1 = v2 = v3 =v4 = 5
print(v1, v2, v3, v4)
v1 = 1, 2, 3
print(v1)
v1, v2 = 10, 20
print(v1, v2)
v2, v1 = v1, v2
print(v1, v2)
5 5 5 5
(1, 2, 3)
10 20
20 10
값 할당 packing
*을 앞에 붙여서 사용한다
print('값 할당 packing')
v1, *v2 = 1,2,3,4,5
print(v1)
print(v2)
v1, *v2, v3 = 1,2,3,4,5
print(v1, v2, v3)
값 할당 packing
1
[2, 3, 4, 5]
1 [2, 3, 4] 5
/n 과 산술연산자
\n 은 개행기호이다
// 몫만 출력
% 나머지만 출력
divmod 몫과 나머지를 괄호로 묶어 출력
print()
print('--------')
print('\n연산자(산술, 관계, 논리)')
print(5 + 3, 5 - 3, 5 * 3, 5 / 3)
print(5 // 3, 5 % 3, divmod(5,3))
--------
연산자(산술, 관계, 논리)
8 2 15 1.6666666666666667
1 2 (1, 2)
연산자 우선순위 비교
소괄호 () > 산술연산자(** > *, / > +, -) > 관계연산자 > 논리연산자 > 치환(=) 순서이다
** 은 제곱이다
print('연산자 우선순위', 3 + 4 * 5, (3 + 4) * 5)
# 소괄호 () > 산술연산자(** > *, / > +, -) > 관리연산자 > 논리연산자 > 치환(=)
연산자 우선순위 23 35
관계연산자와 논리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and, or, not을 사용한다
print('관계연산자')
print(5 > 3, 5 == 3, 5 != 3)
print('논리연산자')
print(5 > 3 and 4 < 3, 5 > 3 or 4 < 3, not(5 >= 3))
관계연산자
True False True
논리연산자
False True False
문자열 연결연산자 +, 문자열 * 연산
print('문자열 더하기 연산자')
print('파이썬' + '만' + "세")
print("파이썬" * 3)
문자열 더하기 연산자
파이썬만세
파이썬파이썬파이썬
누적 연산
print('누적')
a = 10
a = a + 1
a += 1
print('a:', a)
누적
a: 12
파이썬에는 증감연산자가 없다
연산자 활용, bool
값이 존재한다면 true, 값이 존재하지 않거나 0일 경우 false를 리턴한다
print()
print(a, a * -1, -a, --a)
print('bool : ', True, False, type(True))
print(bool(True), bool(1), bool(-23.4), bool('kbs'))
print(bool(False), bool(0), bool(0.0), bool(''), bool(None), bool([]), bool(()), bool({}))
12 -12 -12 12
bool : True False <class 'bool'>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False False False False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정규표현식 (1) | 2022.10.04 |
---|---|
tuple, set, dict (1) | 2022.10.04 |
문자열 자료형, 리스트 자료형, deepcopy, stack queue (0) | 2022.10.04 |
출력서식 (0) | 2022.10.04 |
python과 자료형 기초 (1)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