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ge()
# for + range
print(list(range(1, 6, 1)))
print(set(range(1, 6)))
print(tuple(range(1, 6)))
print(list(range(1, 11, 2)))
print(list(range(6)))
print(list(range(0, 6, 1)))
print(list(range(-10, -100, -20)))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3, 5, 7, 9]
[0, 1, 2, 3, 4, 5]
[0, 1, 2, 3, 4, 5]
[-10, -30, -50, -70, -90]
for과 range()를 활용한 기본 형태
print()
for i in range(6):
print(i, end = ' ')
print()
for _ in range(6):
print('안녕', end = ' ')
# pass
0 1 2 3 4 5
안녕 안녕 안녕 안녕 안녕 안녕
range()를 활용한 구구단
for i in range(1, 10):
print('{0}*{1}={2}'.format(2, i, 2 * i), end = ' ')
2*1=2 2*2=4 2*3=6 2*4=8 2*5=10 2*6=12 2*7=14 2*8=16 2*9=18
합을 구하는 식의 두가지 방법
for문으로 합구하기, sum()과 range() 로 합구하기
print()
tot = 0
for i in range(1,11):
tot += i
print('합은' + str(tot))
print('합은', sum(range(1, 11)))
합은55
합은 55
문제1) 2 ~ 9 단 까지 출력
# 문제1) 2 ~ 9 단 까지 출력
print()
print('문제1) 2 ~ 9 단 까지 출력')
for i in range(2,10):
print(i, '단')
for j in range(1,10):
print(i,'x',j,'=',i*j)
#print('{0}*{1}={2}'.format(i,j,i*j), end=' ')
j += 1
i += 1
문제2) 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나온 숫자들의 합이 4의 배수가 되는 경우만 두 수 출력
# 문제2) 1 ~ 100 사이의 3의 배수이면서 5의 배수의 합 출력
print()
print('1 ~ 100 사이의 3의 배수이면서 5의 배수의 합 출력')
hap = 0
for i in range(1, 101):
i += 1
if i % 3 == 0 and i % 5 == 0:
hap += i
print('합은 {}'.format(hap))
합은 315
문제3) 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나온 숫자들의 합이 4의 배수가 되는 경우만 두 수 출력
# 문제3) 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나온 숫자들의 합이 4의 배수가 되는 경우만 두 수 출력
# 출력 예시) 1 3
# 2 2
# ...
print()
print('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나온 숫자들의 합이 4의 배수가 되는 경우만 두 수 출력')
for i in range(1,7) :
for j in range(1,7):
if (i+j) % 4 == 0:
print(i,j)
print()
1 3
2 2
2 6
3 1
3 5
4 4
5 3
6 2
6 6
n-gram : 문자열에서 N개의 연속된 요소를 추출하는 방법
# n-gram : 문자열에서 N개의 연속된 요소를 추출하는 방법
text = 'hello'
for i in range(len(text) - 1):
print(text[i:i + 2])
he
el
ll
lo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function 예제(동굴과 용 게임) - time.sleep(), random.randint() (0) | 2022.10.05 |
|---|---|
| function (0) | 2022.10.05 |
| 반복문 for (0) | 2022.10.05 |
| 반복문의 continue, break (0) | 2022.10.05 |
| while문 예제 (0)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