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56)
매개변수와 인자 , 가변인수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자(Argument) 함수를 정의할때 사용되는 변수를 매개변수, 실제로 함수가 호출될 때 넘기는 변수값을 인자라고 한다. 함수를 사용할때 Argument와 Parameter를 키워드로 matching한다. 매개변수 유형 위치 매개변수 : 인수와 순서대로 대응 기본값 매개변수 : 매개변수에 입력값이 없으면 기본값 사용 키워드 매개변수 : 인수와 매개변수를 동일이름으로 대응 가변 매개변수 : 인수의 갯수가 동적인 경우 위치 매개변수 인수와 순서대로 대응 def showGugu(start, end=5): for dan in range(start, end + 1): print(str(dan) + '단 출력') showGugu(2, 3) 2단 출력 3단 출력 기본값 매개변수 매개변..
function - global, nonlocal 전역변수와 지역변수 global, nonlocal 활용 # 변수의 생존 범위 (scope rule) # 변수 접근 순서 : Local > Enclosing function > Global player = '전국대표' # 전역변수 def funcSoccer(): name = '신기해' # 지역변수 player = '전국대표' print(name, player) funcSoccer() # print(name) print(player) print('------------') a=10; b=20; c=30 print('1) a:{}, b:{}, c:{}'.format(a,b,c)) def func1(): a = 40 b = 50 c = 100 def func2(): # c= 60 func2_local = 7 g..
function 예제(동굴과 용 게임) - time.sleep(), random.randint() 함수 연습 게임 - random 활용 예제 print('함수 연습용 게임 ---') import random import time def gameSijak(): print('보물을 찾아 여행을 떠나자. 동굴 문은 두개다') print('동굴 속에는 착한 용과 무서운 용이 있다') print('랜덤하게 동굴을 선택해 착한 용을 만나면 보물을 획득, 나쁜 용을 만나면 황천길') def chooseCave(): cave = '' while cave != '1' and cave != '2': print('동굴을 선택(1 또는 2)') cave = input() return cave def chkCave(selectNum): print('동굴에 도착') time.sleep(3) rndNum = random.ran..
function function(함수) 여러 개의 수행문을 하나의 이름으로 묶은 실행단위(unit) 반복 소스의 재활용(단순화) 디버깅이 쉽다. 유지 보수비가 적다. 내장함수, 사용자 정의함수로 나뉜다 내장함수 합산하는 것과 자료를 형태변환 해주는 기초 내장함수 a = 3 print(a) print(sum([3, 5])) print(bin(8)) print(int(1.6), float(3)) 3 8 0b1000 1 3.0 eval 함수 String type의 식도 연산해주는 장점 등이 있지만 보안상 좋지 않으니 추천하지 않는다. a = 10 b = eval('a + 5') print(b) 15 쓰임새가 많은 함수는 보통 내장되어 있지만 아닌 것은 import 해야 사용할 수 있다. 반올림, 올림, 내림 함수 예컨데 많이..
for문, range() - 예제 range() # for + range print(list(range(1, 6, 1))) print(set(range(1, 6))) print(tuple(range(1, 6))) print(list(range(1, 11, 2))) print(list(range(6))) print(list(range(0, 6, 1))) print(list(range(-10, -100, -20)))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3, 5, 7, 9] [0, 1, 2, 3, 4, 5] [0, 1, 2, 3, 4, 5] [-10, -30, -50, -70, -90] for과 range()를 활용한 기본 형태 print() for i in range(6): print..
반복문 for 반복문 for의 기본 구조 반복문에는 보통 리스트, 튜플, 문자열이 사용된다. 집합형 자료 set은 순서가 없고 중복이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반복문에 쓰이지 않는다. for 변수 in 리스트(또는 튜플, 문자열):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 for 변수 in 집합형자료:... # for i in [1,2,3,4,5]: # 리스트 # for i in (1,2,3,4,5): # 튜플 for i in {1,2,3,4,5}: # 집합형 자료 set 순서 없고 중복 불가 print(i, end = ' ') dict 타입도 종종 쓰인다 print(soft.items()) 에서 알 수 있듯이 dict의 data가 다수라면 리스트로 묶여 출력되기 때문에 리스트의 순서로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다. # 사전형 so..
반복문의 continue, break 반복문의 continue, break continue는 특정 조건에 반복문의 맨 처음(조건문)으로 다시 돌아가게 만들고 싶은 경우에 사용한다 break는 특정 조건에서 강제로 반복문을 빠져나가고 싶을 때 사용한다 continue와 break를 한번에 볼 수 있는 코드 예시에서 continue의 조건인 a==3은 프린트되지 않고 넘어갔고 while문의 조건인 a
while문 예제 문제1) 1 ~ 100 사이의 숫자 중 3의 배수이나 2의 배수가 아닌 수를 출력하고, 합을 출력 필자 작성 코드 i = 1 while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