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문, range() - 예제
range() # for + range print(list(range(1, 6, 1))) print(set(range(1, 6))) print(tuple(range(1, 6))) print(list(range(1, 11, 2))) print(list(range(6))) print(list(range(0, 6, 1))) print(list(range(-10, -100, -20)))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3, 5, 7, 9] [0, 1, 2, 3, 4, 5] [0, 1, 2, 3, 4, 5] [-10, -30, -50, -70, -90] for과 range()를 활용한 기본 형태 print() for i in range(6): print..
반복문 for
반복문 for의 기본 구조 반복문에는 보통 리스트, 튜플, 문자열이 사용된다. 집합형 자료 set은 순서가 없고 중복이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반복문에 쓰이지 않는다. for 변수 in 리스트(또는 튜플, 문자열):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 for 변수 in 집합형자료:... # for i in [1,2,3,4,5]: # 리스트 # for i in (1,2,3,4,5): # 튜플 for i in {1,2,3,4,5}: # 집합형 자료 set 순서 없고 중복 불가 print(i, end = ' ') dict 타입도 종종 쓰인다 print(soft.items()) 에서 알 수 있듯이 dict의 data가 다수라면 리스트로 묶여 출력되기 때문에 리스트의 순서로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다. # 사전형 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