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 framework

(68)
Step01_dataType5 (array type) 배열은 주로 한가지 type의 데이터만 담는 것이 일반적이고 안에 object type을 삽입할 수 있다.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array type에 저장된 특정 정보만 확인할 수 있다. 형태를 보고 type을 유추해 볼 수 있다. ex) members[1].name members[1] -> array type ([]) members[1]. -> object type (점) members[1].name -> string type
Step01_dataType4 (array type) 앞서 dataType2,3 (https://bonoitlog.tistory.com/10)에서 공부한 object type은 순서가 중요치 않을때 사용된다. 반면에 순서가 중요한 상황에서는 array type을 사용하고 let key=[value1, value2] 형식을 사용한다. array type은 1이 아닌 0부터 시작하고 undefined는 5번째 데이터는 저장해놓지 않아서 그렇다. array type은 object type의 부분집합 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시에서 ""는 텍스트라서 사용하였다. array type도 변수를 특정 배열에 활용하거나 수정이 가능하다. array type에서 자주 사용되는 함수 3가지 length, push, splice는 기능과 사용법을 외워두는 것이 좋다.
Step01_dataType2,3 (boolean type, object type) 프로그래밍에서는 참과 거짓을 나타낼때 사용하는 boolean type이 존재한다. 위의 사진은 boolean type을 사용할때 활용되는 연산 및 연산자를 사용한 예시이다. javascript에 대표적인 3가지 타입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타입이 존재하고 언어별로 차이가 있다. number type : 숫자 타입 string type : 문자 타입 boolean type : 참, 거짓 여러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묶음으로 관리하는 경우 object type을 사용하며 let 변수명={key:value, key2:value2}형식으로 작성하면 된다. 예시에서는 let mem1={num:1, name:"김구라", isMan:true}를 작성하였다. number, string, boolean 타입이 하나의 변수명으..
Step01_dataType (let, 변수) javascript는 html, css와는 다르게 동적인 언어라고 할 수 있다. javascript 영역은 head와 body 상관없이 작성 가능하다 브라우저에서 확인 가능한 console 영역 역시 javascript의 영역으로 추후에 작업할때 실험해볼 수 있다. 이렇듯 html과 console 과 같은 영역을 global area(전역)라고 한다. 프로그래밍에는 변수(variable)라는 단어가 존재한다. 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이름 지어진 공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global area(전역) 공간에서 만들어진 변수를 전역 변수라고 한다. 변수는 필요한 시점에 값을 바꿀 수 있게 해준다. 변수를 만들때는 미리 약속된 예약어 let 을 사용한다. (형태 : let 변수명=값;) let 다음에는..